[스크랩] 부여박물관
드디어 부여박물관으로 갑니다. 한편으로는 공주박물관하고는 별 다를 게 없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부여박물관은 백제 금동향로 하나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부여박물관...봉황의 문양이 있습니다.
부여박물관 안으로 들어가면 제일 먼저 보이는 것이 당나라 장수 유인원의 공적비입니다. 치욕과 굴욕의 역사를 알게 하는 것도
역사박물관의 기능입니다.
박물관에 들어가기 전에 국어과 동문 세 사람이 사진을 찍었습니다. 김병일, 김재하, 차성환
차성환 선배는 부처님의 손 자세를 취해봅니다. 맞습니까? 비교해보세~~요.
무엇일까요?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정답은 여자용 변기입니다.
무엇일까요?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정답은 남자용 변기입니다. 참 발상이 뛰어납니다. 들고다니는 용도입니다. portable!!
얼굴의 윤곽이 잘 드러나 있지 않은 석상들
앞서 말한 바 원형의 청동거울, 임금을 상징합니다. 태양을 상징합니다.
석제 돌칼
충남의 토기들
칠지도, 모형과 칠지도에 적혀 있는 글자가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초인호 소설을 보면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백제의 얼굴들. 참 대단합니다. 건물 어느 하나, 기와, 와당 등 그냥 넘어가는 법이 없었나 봅니다.
드디어 금동대향로. 진품이고 부여박물관에서 소장중입니다. 실내라서 플래쉬는 켜지 못하고...
그래도 빛을 이용해 최대한 살려서 찍었습니다.
좀더 클르즈업해봅니다. 금동대향로. 맨위가 봉황이고 그 아래에 각양의 악기를 들고 있는 악사 가 있으며
아래는 용이 굼틀거립니다. 자세히 보시면 원숭이도 보이지요.^^
의자왕과 관련된 유물
다양한 문양이 보입니다. 봉황, 용 등등, 연꽃도